반응형

Smart Contract

“똑똑한 계약서”라고 직역할 수 있는데 무슨 말일까 알아보도록 합시다.

Smart Contracts - Nick Szabo

  • 1994년 닉 사보(Nick Szabo)의 논문에서 처음 제시된 개념.
  • 당시 기술적 한계로 구현하지 못함.
  • 기본 성질
    1. 관측 가능성(observability)
    2. 서로의 계약 이행 가능성을 관찰하거나 그 성과를 입증할 수 있어야 한다.
    3. 검증 가능성(verifiability)
    4. 계약을 이행하거나 위반했을 때 계약 당사자들이 이를 알 수 있어야 한다.
    5. 당사자 원칙(privity)
    6. 계약의 내용은 계약이 필요한 당사자들만이 알 수 있어야 한다.
    7. 강제 가능성(enforceability)
    8. 계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속력이 있어야 한다.

 

다음은 해당 논문의 링크입니다. → Smart Contracts

 

Smart Contract의 등장 배경

기존 계약 방식

신뢰할 수 있는 제3자(Trusted third party)를 통한 거래

자산의 복제, 이중 지불등의 금융 시스템을 붕괴시킬 수 있는 행위를 막기 위해서는 아무나 자산을 함부로 다룰 수 없도록 은행과 정부에서 신뢰할 수 있는 금융 기관을 설립해서 거래 행위를 검증해야 합니다.

이때 신뢰할 수 있는 금융기관을 신뢰할 수 있는 제3자(Trusted third party)라고 합니다.

 

기존 계약 방식의 문제점

1. 주식 거래
주식 거래는 아래와 같이 매도자와 매수자 간의 거래

 

2. 하지만 실제 거래는? → 증권 회사를 통한 제 3자 거래
증권 회사는 `거래 수수료`를 요구한다!

 

3. 해외 송금
은행은 송금 수수료와 환전 수수료를 요구한다!

 

Blockchain 의 등장과 Smart contract의 구현

사전에 정해진 계약자 간의 규칙에 따라 디지털 자산을 자동으로 이동하는 시스템

- 비탈릭 부테린 (Vitalik Buterin)

 

닉 사보가 제안한 Smart Contract는 앞서 살펴본 것처럼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.

  1. 지불 조권, 유치권, 기밀 보장 등 일반적인 계약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.
  2. 계약 지불 조건이 만족되면, 자동으로 계약이 이행 되어야 한다.
  3. → 이를 위해서 컴퓨터 코드로 Smart Contract를 작성하여,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계약이 수행되도록 한다.

 

Smart Contract 구현의 걸림돌

Smart Contract의 구현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은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방법 이었습니다.

→ Ethereum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은 이 Blockchain을 활용하여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고, 이를 통해 Smart Contract의 구현에 성공하였습니다.

 

Smart Contract의 장점

 

보안

Contract의 내용과 그 이행 내역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노드가 공유
→ 조작 가능성이 낮아짐

 

신뢰성 & 투명성

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모든 노드가 검증
→ 계약 내용 및 이행 결과를 위변조 하기 어려움
→ 신뢰성과 투명성이 높아짐

 

효율성

계약 상대의 계약 의무 이행 여부 검증, 제3자를 통한 계약 이행 등의 불필요한 절차를 줄일 수 있습니다.

반응형

'Blockchai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Blockchain에서의 Transaction에 대하여  (2) 2024.06.10
Metamask 설치하기 ( with. Chrome browser)  (0) 2024.06.07
ERC-20 Snapshot Contract  (0) 2024.06.05

+ Recent posts